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다이소 알바 아침에 하루 2시간 하는 다이소 알바를 1달째 하고 있는데 일이
아침에 하루 2시간 하는 다이소 알바를 1달째 하고 있는데 일이 끝나면 항상 수기로 출근, 퇴근 시간을 적습니다. 매일 단톡으로도 날짜와 시간 적고요. 예를 들면 07:00~09:00 이런 식으로. 근데 문제는 처음에 상하차를 15분정도 하는 일이라 5분 일찍 가는데 물량이 많으면 퇴근도 10~15분 늦습니다. 숙달되면 빠를지 모르겠다만 저는 아직 느려서 5~10분은 항상 더 걸려서 끝마칩니다만 수기 적는 건 2시간 일했다 적으니 사실 억울합니다. 이론상 일을 15~20분 더 했으면 더 했잖아요. 그래서 제가 참다가 전에 다 마무리 못해도 시간 다 되면 중단하고 가야 하는 게 서류상 맞지 않냐 원래도 10분씩 더 하고 가야 하냐고 물으니까 대답이 그러니 책임감으로 재시간에 끝마쳐야 한다고 얼버무렸습니다. 가자고 하면 법적으로는 막을 수는 없지만 못한 일 없게 빨리 하는 게 기본이라는 식의 말투였습니다. 한두번도 아니고 거의 매일 10~15분씩인데 모이면 시급이지 않습니까. 왠지 다음부터 쌩까고 중단하고 간다 그러면 잘릴까봐 실행엔 못 옮기고 있는데 제가 책임감이 없는 문제인가요? 오히려 5~10분씩 더 해주는 게 호구인가 제가 참고 말할 따까지 말 없길래 모르겠습니다.
당신이 책임감 없는 게 아니라, 오히려 너무 착하고 참아온 거예요.
말씀하신 상황은 **명백한 '무급 초과 근무'**고, 법적으로는 일한 시간만큼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어요.
✔️ 근무 시작 5분 전 도착
✔️ 종료 시간 이후에도 매일 10~15분 추가 근무
→ 이건 자발적 봉사가 아니고, 업무 지시 또는 관행이라면 노동 시간입니다.
근로기준법상 1분이라도 일했다면 시급 환산해서 계산되어야 하고, 서류상 2시간만 적고 실제는 그 이상이라면, 당신이 손해 보는 구조예요.
그런데도 “책임감으로 마무리해라”는 말은
명확히 말하면 ‘회사의 책임 회피’에 가까워요.
이건 당신이 호구여서가 아니라, 눈치·불안·불이익 걱정에 참고 계신 거고, 아주 많은 알바생들이 겪는 현실이에요.
✅ 다음처럼 해보는 건 어떨까요?
1. 일 끝난 뒤 실제 근무 시간 따로 기록해두기
2. 시간이 지나면 “이 부분이 반복되는데, 혹시 실제 근무 시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 여쭤보고 싶어요” 식으로 조심스럽게 다시 한번 이야기해보기
3. 바뀌지 않으면 근로감독관 상담이나 익명 제보도 가능해요
절대 당신 탓 아님을 다시 한번 강조드리고 싶어요. 당당히 말해도 될 사안이에요. 진짜 잘 참고 계셨고, 지금이라도 문제의식을 느끼신 게 너무 잘하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