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국내상장 snp500 etf 매도 방법 안녕하세요. ISA가 아닌 일반 계좌에서 국내상장 snp500 etf를 꾸준히 매수해왔으며
안녕하세요. ISA가 아닌 일반 계좌에서 국내상장 snp500 etf를 꾸준히 매수해왔으며 (TIGER 미국 snp500 등) 현재까지의 손익은 대략 200만원입니다.ISA 또는 해외직투가 아닌 이런 국내계좌에서 국내상장 해외지수 etf를 구매하면 세금 면에서 매우 불리하다는 말을 듣기도 했고, 전 더이상 국내상장이 아닌 해외직투를 하고 싶어서 해당 계좌에 있는 주식을 정리(매도)하려고 하는데요, 최대한 손해 없이 스마트하게 매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예를 들어 해외 직투는 1년에 250만원 씩만 매도한다 등의 방법이 있는 걸로 아는데, 저같은 국내계좌도 이렇게 최대한의 수익실현이 가능한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없다면, 결론적으로 전 얼마의 손해(세금)을 보는지도 궁금합니다.참고로 전 소득이 없는 대학생이고 국내상장etf와 별개로 해외직투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이미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일반 계좌(ISA 아님)에서
국내 상장된 S&P500 ETF(예: TIGER, KODEX 미국S&P500 등)를
약 200만 원의 수익을 낸 상태이고
이제 해외직접투자로 갈아타고 싶다
→ 그런데 세금 손실 없이 최대한 스마트하게 매도하고 싶다는 고민이시죠.
아주 현실적이고 중요한 질문입니다. 아래 내용을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 국내 상장 해외지수 ETF – 세금 구조
매매차익 과세 여부
국내 상장 ETF는 기본적으로 매매차익에는 과세되지 않습니다.
즉, ETF를 100만 원에 사서 200만 원에 팔았다면 → 이익 100만 원에는 세금 없음
단, 예외는 해외자산 60% 이상 포함된 ETF는 배당소득세(15.4%) 부과
→ TIGER 미국S&P500 / KODEX 미국S&P500 / KODEX 미국나스닥100 모두 해외지수 ETF이고
이들은 세법상 ‘배당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
세금 계산 방식
매도할 때의 차익에 대해 배당소득세 15.4% 부과
기본공제 없음 (일반계좌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아님일 경우에는 15.4% 원천징수로 끝)
✅ 당신의 상황에 맞춘 예시 계산
현재 수익 약 200만 원이라고 하셨으니:
200만 원 × 15.4% = 약 308,000원 세금 발생 예상
이 금액은 매도 시 자동 원천징수됩니다.
(현금으로 들어오지 않고, 차익에서 떼고 입금됩니다.)
✅ 최대한 "스마트하게" 매도하려면?
아쉽게도, 국내 상장 해외 ETF는 해외직접투자처럼 250만 원 비과세 한도 같은 제도는 없습니다.
그런데! 소득이 없는 대학생이시라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닐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 그 말은 곧, 15.4% 세금이 전부이고, 추가 세금은 없습니다.
→ 즉, "나눠 팔면 덜 낸다"는 구조가 아닙니다.
✅ 해외직접투자(직투)와 세금 비교
항목
국내상장 ETF
해외직접투자
과세 유형
배당소득세 15.4%
양도소득세 22% (지방세 포함)
비과세 혜택
없음
연 250만 원 비과세 한도 있음
신고 필요
없음 (원천징수)
직접 신고 필요 (5월 종합소득세 때)
환전 필요 없음
O
✖ 환전 필요 (원화 ⇄ 달러)
✅ 결론 및 조언
1. 지금 정리하셔도 세금은 15.4%만, 이 이상은 없습니다.
→ 추가 세금 없고, 수익 실현 시 자동 원천징수됨
2. 여러 번 나눠서 판다고 해서 세금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 예: 오늘 100만 원, 내일 100만 원 나눠 팔아도 세금은 똑같이 적용됩니다.
3. 해외직접투자는 250만 원까지 양도차익 비과세가 되므로,
→ 장기적으로는 해외직투가 세금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지금 매도하시면 약 200만 원 수익에 대해 308,000원 세금(15.4%)이 자동 원천징수됩니다.
소득이 없고 일반계좌인 경우, 더 이상 세금은 없습니다.
나눠 파는다고 절세되지 않습니다.
향후에는 해외직접투자(해외주식 계좌) + 250만 원 비과세 제도를 활용하시는 게 더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