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납입 승인돼서 계좌개설을 하려고 하는데 아직 월급 받기 전이라 돈이 없어서
승인돼서 계좌개설을 하려고 하는데 아직 월급 받기 전이라 돈이 없어서 월 납입 천원으로 설정해놓고 나머지 69만원을 매 달 추가로 납입하는 식으로 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질문자님,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시려는 상황에서 월 납입금을 1,000원으로 설정하고, 이후 수동으로 추가 납입을 계획하고 계시군요. 이러한 방식은 청년도약계좌의 자유적립식 특성을 활용한 전략으로, 충분히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일 단위로 계산되며, 월말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빠르게 납입할수록 이자 수익이 증가합니다.
> 한 번에 일괄 납입: 월 초에 70만 원을 한 번에 납입하면, 해당 금액 전체에 대해 월 전체 기간의 이자가 계산됩니다.
> 여러 번 나눠서 납입: 예를 들어, 30만 원을 월 초에, 40만 원을 월 중순에 납입하면, 각각의 금액에 대해 납입일부터 월말까지의 이자가 계산됩니다. 이 경우, 전체 이자 수익이 줄어들게 됩니다.
즉, 한 번에 일괄 납입하는 것이 이자 수익 측면에서 더 유리합니다.
다만, 정부기여금은 월별 납입액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한 달에 여러 번 나눠서 납입하더라도, 해당 월의 총 납입액이 기준을 충족하면 정부기여금이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5월에 30만 원과 40만 원을 나눠서 납입하여 총 70만 원을 납입했다면, 해당 월의 정부기여금이 지급됩니다.
따라서, 정부기여금 측면에서는 납입 횟수보다 총 납입액이 중요합니다.
질문자님 말씀처럼 매달 자동이체를 천원 또는 만원으로 설정하신 후, 월급 수령 후 그 달에 69만원을 추가 입금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또는 첫 달은 소액만 입금하신 후, 익월부터 월초에 자동이체 70만원을 설정하시는 방법도 있을 것 같아요.
은행마다 급여이체, 자동이체, 카드실적 등 우대금리 조건이 다르니 이 부분도 확인하셔서 추가 우대금리도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부 지원 청년 목돈 만들기,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신청방법) - 복지와 정책을 MoaMoa
청년 도약 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을 위한 목돈 마련 정책입니다. 최대 월 70만 원까지 지원받으며, 가입 조건, 소득 기준, 납입 방법, 중도 해지 시 유의사항까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종합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