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중학교 1학년 자퇴 제가 중학교 초반에는 괜찮았는데, 뒤로 갈수록 친구들이 저를 떠나서 결석이나,
제가 중학교 초반에는 괜찮았는데, 뒤로 갈수록 친구들이 저를 떠나서 결석이나, 조퇴를 많이 했어요.공부도 학교에서 배우는 게 의미가 없다고 느껴지고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어서 자퇴를 하고 싶은데 부모님에게 어떻게 말씀 드리는 게 나을까요?만약에 자퇴한 뒤에 학원을 다니며 공부를 해도 괜찮나요? 사람들이 검고를 봐야 한다고 해서…
마음이 많이 힘들었겠어요. 괜찮은 척하면서도 속으로는 얼마나 외롭고 지쳤을지 짐작이 됩니다.
자퇴를 고민하고 있다는 건, 그만큼 지금 상황이 견디기 어렵다는 뜻일 거예요. 먼저 자신을 이렇게까지 몰아세우지 않고, 솔직한 마음을 들여다본 건 정말 용기 있는 행동입니다.
<부모님께 말할 때는 '진심'이 가장 중요해요>
부모님께는 감정을 폭발시키기보다는, 지금까지 어떤 일이 있었고, 왜 자퇴까지 생각하게 되었는지를 천천히 이야기해보는 게 좋아요.
예를 들어 이런 식으로 말해보세요.
"학교가 예전이랑 달라졌어. 친구들이랑 멀어지면서 너무 외로웠고, 그래서 자꾸 결석이나 조퇴를 하게 됐어. 학교에서 배우는 것도 잘 와닿지 않고, 하루하루가 힘들었어. 지금은 학교보다 다른 방식으로 공부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조리 있게 말하면, 부모님도 질문자님의 마음을 더 잘 이해하실 수 있어요. 자퇴를 '포기'가 아니라 '다른 길을 찾는 시작'으로 말해보는 게 중요합니다.
<자퇴 후의 계획이 더 중요해요>
자퇴는 그 자체보다 그 '이후의 계획'이 훨씬 중요해요. 단순히 학교를 그만두는 게 아니라, 어떤 방식으로 공부를 이어갈지, 자신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할지 구체적인 그림이 있어야 부모님도 납득하실 수 있거든요.
검정고시(검고)는 자퇴 후 중졸·고졸 학력을 인정받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에요. 하지만 단순히 시험만 준비하는 게 아니라,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이나 루틴을 만들어야 하죠.
학원을 다니면서 검정고시를 준비하거나, 온라인 강의나 독학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특히 요즘은 혼자 공부하는 친구들을 위한 커뮤니티도 많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루트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어요.
<한 번 더 생각해봤으면 좋겠어요>
질문자님이 지금 자퇴를 진심으로 원하고 있더라도, 혹시 감정이 너무 힘들어서 ‘탈출’을 하고 싶은 마음이 앞서 있는 건 아닌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잠시 학교를 쉬는 ‘치유의 시간’이 필요한 걸 수도 있어요. 상담 선생님이나 청소년 상담복지센터(1388) 같은 곳에 도움을 요청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에요. 자퇴는 다시 돌아올 수 없는 선택이 될 수도 있어서, 정말 여러 방면으로 충분히 고민한 뒤에 결정해야 해요.
<마무리>
지금 이 순간에도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질문자님이 참 대견합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자신을 위해 내린 결정을 존중하고 응원합니다. 다만 너무 급하게 결론을 내리기보다, 조금 더 마음을 가라앉히고 신중하게 결정하길 바라요.
이 답변이 도움이 됐다면, 답변 채택과 ‘좋아요’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