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한미 관세 협정 한국측 3,500억 달러 조달 문의 1. 한미 관세 협정 타결과 관련해 한국측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1. 한미 관세 협정 타결과 관련해 한국측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하는데    3,500억 달러면 우리나라 1년 예산이 대략적으로 계산해도 4,676억 달러로 계산   (Naver 환율 계산기 기준) 되는데 점유율이 거의 75%를 점하는 엄청난 금액인데 2. 투자라는 개념이 예전에는 선진국이 개발 도상국이나 후진국에 본인들의 여유 자금을 투자하는 경우인데3. 지금 현재는 상황이 반대이니4. 우리나라가 현재 대략적으로 4,000억 정도의 외환 보유고를 유지하지만5. 수출을 경제 성장의 기본으로 삼고 있는데 우리나라 경제 체질상 해당 보유하는 외환 보유고를 전부    미국에 약속한 투자 금액으로 조달 할 수도 없고6. 또한 투자 금액이 원화이면 100% Inflation이 되겠지만 정부가 한국은행에 원화를 발행할 수도 있겠지만7. 물론 투자라는 개념이 미국의 경우도 부채의 개념은 아니고 우리나라도 투자를 하면 그것에 수반되는   이윤이 있는것이 일반적인 이론이나8. 우리나라 살림이 뻔한데 우리나라는 미국의 투자할 자금을 어떡게(방식) 조달하나요?  아시는 분 좀 알려주세요9. 방송에 공개된 대로 일본의 경우 5,500억 달러, EU의 경우 6,000억 달러 투자를 한다고 타결했고   우리나라까지 더 한다면 3국만 하더라도 1조 5000억 달러인데 10. 해당 금액이 미국으로 흘러 간다면 미국의 부채가 30조 달러가 좀 개선이 되나요11. 미국의 경우 해외 투자를 받으면 제조업이 활성화 되고 고용이 창출이 되겠지만 구체적인 쌍둥이     적자 개선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지? 아시는 분 설명 부탁 드립니다감사합니다
답변
1. 투자는 정치적요소 구매는 무역적 요소 입니다
2-5 정치적 요소란 그때 봐서 하느냐 마느냐 로 결정 한다는 것입니다
6-8번 세부적 방안이 수립안된것이므로 현재로썬 미확정
9-11 편집된 언론사 주장으로 봅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상호 관세율 적용율입니다
한국 15% 인도 25% 브라질 50%
내생각 성공적 관세 협상 타결로 봅니다
알래스카 개스전 유전공사는 우리가 구입한다고 했지만 기약 할수없는 미래 상품이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