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비투스와 아비투스적 문화자본은 무엇인가요?2. 아비투스와 헤게모니가 의미적으로 비슷한 부분이 있나요?3. apple이 헤게모니에 대해 설명했는데, 헤게모니 이론을 최초로 설명한 사람도 apple인가요?이외 또 어떤 학자가 헤게모니에 대한 설명을 하였나요?
1. **아비투스(Habitus)**와 아비투스적 문화자본이란?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제시한 사회학 개념입니다.
개인이 사회 속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한 삶의 양식이 내면화되어 행동, 사고방식, 취향, 감정 표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체화된 성향을 말합니다.
예: 부잣집 자녀가 자연스럽게 고급 음악이나 예절을 익히는 것 → 이는 의식적인 학습이 아니라 ‘몸에 배인 것’임.
문화자본은 부르디외가 정의한 개념 중 하나로, 크게 세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화체화된 문화자본: 아비투스 형태로 체득된 것(예: 언어 구사 능력, 고급 취향 등)
➡️ 따라서 아비투스적 문화자본은 ‘체화된 문화자본’과 동일하게 쓰이며, 개인이 사회화 과정을 통해 몸에 익힌 문화 능력, 언어, 습관 등을 뜻합니다.
둘 다 사회 구조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무의식적이고 반복적인 작용을 통해 지배 질서가 유지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아비투스: 개인이 지배 구조에 맞게 ‘몸으로 익혀서’ 따르게 됨.
헤게모니: 지배계급의 가치가 자연스럽고 보편적인 것처럼 받아들여짐.
3. 헤게모니 이론: Apple이 처음인가요?
헤게모니(hegemony) 개념을 **처음 이론화한 학자는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입니다.
그는 이탈리아 마르크스주의자로, 문화적 헤게모니 이론을 통해 “지배계급이 억압보다 동의(consent)를 통해 지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기서 말씀하신 Michael W. Apple은 미국 교육학자입니다.
학교 교육이 어떻게 기존 지배 질서를 재생산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예: 교과서 내용, 수업 방식, 평가 제도가 어떻게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지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