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권 목표로 하면 캐나다 vs 호주 유학? 25살에 졸업해서 호주 워홀을 가서 돈을 모으려고 해요. 그리고 유학을
영주권 목표로 하면 캐나다 vs 호주 유학? 25살에 졸업해서 호주 워홀을 가서 돈을 모으려고 해요. 그리고 유학을
25살에 졸업해서 호주 워홀을 가서 돈을 모으려고 해요. 그리고 유학을 갈려고 하는데 28살까지 호주에 있는다고 하면, 영주권이 목표면 캐나다가 나을까요, 호주가 나을까요?
호주와 캐나다 둘 다 이민자에게 좋은 국가지만, 영주권 취득과 생활 여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포인트를 비교해 드릴게요.
워킹홀리데이 비자(417/462)는 최대 3년까지 연장 가능(농장/어업/건설 등 특정 업종 종사 시).
워홀 중 저축 가능성은 있지만 생활비가 높아 저축이 쉽지 않을 수 있음.
유학 후 졸업생 비자(485)를 통해 2~4년 추가 체류 가능.
유학 후 영주권 취득 시, 직업군(기술직/간호/요리 등)에 따라 유리하거나 불리할 수 있음.
워킹홀리데이 비자(IEC)는 대부분 1~2년 체류 가능.
생활비가 호주보다 저렴해 저축이 비교적 수월함.
유학 후 취업비자(Post-Graduation Work Permit, PGWP)를 통해 최대 3년 체류 가능.
주마다 이민 제도가 달라 전략적으로 선택 가능(특히 대서양 이민 프로그램 등).
기술이민 제도(포인트 기반)로 학력, 경력, 영어 점수, 나이 등을 평가.
주요 직업군(간호사, 요리사, 기술직 등)이 유리하며 영어 능력이 매우 중요함.
직업군 목록(SOL)에 따라 이민 가능 여부가 자주 변동됨.
연방 기술이민(Express Entry)과 주정부 이민(PNP)을 통해 영주권 취득.
영어(French) 능력과 직업 경력이 중요한 요소.
유학 후 캐나다에서 경력을 쌓으면 상당히 유리함.
비교적 영어 점수가 낮아도 직종에 따라 기회가 많음.
온화한 기후와 해안 중심 생활로 여유롭고 휴양 분위기.
인종차별이 있다는 의견도 있으나 도시마다 차이가 있음.
생활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주택비용이 호주보다 낮음.
영어와 불어 모두 사용(퀘벡 등 불어권 지역 주의).
졸업 후 취업비자 → 기술이민(포인트 점수 관리).
유학(간호, IT, 요리 등 수요 높은 직업군).
호주 유리한 경우: 영어 실력이 좋고, 특정 기술직이나 직업군(간호, 요리 등)을 목표로 한다면.
캐나다 유리한 경우: 영어 성적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유학 후 이민을 목표로 한다면.
캐나다는 유학 후 경력을 쌓으며 이민하기에 비교적 안정적인 경로가 많습니다. 특히 나이가 많아질수록 호주보다 캐나다의 Express Entry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호주는 최저임금이 높아 워홀 동안 돈 모으기 좋지만, 영주권 취득 요건이 까다로울 수 있어 유학 후에도 철저한 계획이 필요합니다.